무사유라는, 쉬움의 위험
플라스틱은 쉽고, 위생적이며, 값싸다. 다시, 값싼 방식으로 영위하는 편리함이다. 편리함에 길들여진 인류는 먹고 마시는 경로로 재앙을 맞이했다. 플라스틱은 조직을 침투하고, 신경을 교란한다. 신체적 건강과 정신적 건강 모두에 악영향을 미친다. (Guardian)
탕비실 주방에는 스테인리스 컵들이 쌓여 있었지만, 그녀는 즐겨 사용한다기에는 다소 지나친 횟수로 일회용 종이컵과 빨대를 가져다 썼다. 그녀는 그 회사에서 거의 유일하게 빨대를 사용했다. 가끔 회사 밖에서 함께하는 식사 시간에도 휴지와 냅킨을 상당량 사용했다. 외부에서 관찰된 것 만도 그러한데, 적지 않은 양으로 플라스틱에 노출되었으리라. 플라스틱은 태반을 통과한다. 아이가 말을 늦는다고 걱정이었던 그녀의 아이가 자폐를 가졌다는 사실이 알려지기까지 그리 오래 걸리지 않았다.
그녀는 빨대 사용을 숙녀의 에티켓으로 여기는 듯했다. 그러나 사실은 지배적인 구도 아래에서 보인 대처였다고 생각했다. 그녀는 매력적으로 여겨지는 직원이 아니었다. 폐쇄적인 조직에서 그녀는 주변을 알아챘고, 짜증스럽고, 불행했다. 무어라도 누려야 할 기분이 드는 가운데, 간식을 가져가는 가장 쉬운 공간에서 플라스틱들로 그 불행을 해소하고 싶었던 것 같다. 잠깐 누리다 버리고 마는, 이다지도 간편한 순간들의 연속이 초래한 불행의 불행. 쉬운 방식으로 누리는 일련의 모든 방식보다 숙고가 수반되는 방식이 아무래도 낫다. 대를 잇는 불행이 이어진다.
쓰레기는 0이 될 수 없다. 그러나 현재의 위기는 즉각적으로 개선해야 하는, 일회용 플라스틱 사용의 전면적인 제거가 고려되는 위기다. 이 위기는 이상기후로 가시화되어 대두되었고, 종내는 생태와 신경을 교란시켜 불인지의 상태를 만들고, 그 위해의 스펙트럼은 ‘대를 잇는다’. 나는 뇌까지 침투한 위기가 두려웠다. 뇌에 축적된 플라스틱은 신경전달물질을 교란하고 이는 인간의 전생애에 걸쳐 일어난다. 우울, 사회성 저하, 알츠하이머, 자폐증, ADHD, 등등 모두 매우 근접하여 산재한다. 살해당한다.
엄격한 텀블러 사용을 노력한지 2년이 지나간다. 플라스틱 사용을 거부하기로 한 결심과 행동을 통해, 나로서는, 자족이 아닌 이상, 플라스틱 무소비가 불가능하다는 생각이 들었다. 플라스틱 사용의 제로화는 유통시스템 전반에 걸친 개혁이 있어야 가능하다는 결론에 도달했고, 그 정도로 플라스틱은 곳곳에 산재했다.
얻은 정보는, 많지는 않지만, 플라스틱 재사용이 가능한 구매처가 분명 존재하고, 재활용 용기와 포장재를 사용하는 생활이 가능하기는 하다는 것이다. 불편함, 내지는 귀찮음을 이겨내는 실천력의 문제라고 생각했다. 어쩌면, 정신력의 문제일 수도.
숙고하고 재고하는 과정이 재활용에 대한 체계를 정립하는 데 기여하고, 정책으로 이어지는 데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일회용 플라스틱 사용을 전면적으로 제거하는 것이 목표가 되어야 한다. 식음료 용기에서부터 포장재에 대한 혁신이 이루어져야 한다. 재활용(재사용)은 의료계에서도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Interview: Harvard) 이제 재활용(재사용)에 대한 방향이 보여야 한다.
플라스틱은 전적으로 위해이다. 기후변화의 원인에 이르기까지 지구의 모든 생명에 가해지는 위해이다. (From Pollution to Solution, United Nations Environment programme, 2021)
쉬운 소비는 질병이다. 사유 없이 해소하고 마는 배설행위이다. 쉽게 해소하는 인간들은 어떻게 살고 있는가. 질병에 걸린 인간이다. 불인지의 재앙이다.
Title: The Hazard of Thoughtless Comfort
Plastic is easy, hygienic, and cheap. It is conveniently maintained by its cheapness. Humanity, accustomed to comfort, has met catastrophe through the very routes of eating and drinking. Plastic infiltrates tissues and disrupts the nerves. It negatively affects both physical and mental health. Guardian
In the office kitchenette, stainless steel cups were stacked up, yet she used disposable paper cups and straws far too frequently for it to be considered just a preference. She was almost the only person in the company who regularly used straws. Even during occasional meals outside the office, she used a noticeable amount of tissues and napkins. Even from what was visible on the outside, it was clear she must have been exposed to a considerable amount of plastic. Plastic crosses the placenta. It didn’t take long before it became known that the child she worried about—because of delayed speech—had been diagnosed with autism.
She seemed to think of using straws as a kind of ladylike etiquette. However, in truth, it felt more like a coping mechanism shaped under a dominant, oppressive structure. She wasn’t considered a particularly attractive or favored employee. In that closed-off organization, she was observant of her surroundings, easily irritated, and unhappy. Feeling like she deserved to enjoy something—anything—she turned to the easiest place to indulge: snacks and drinks, wrapped in plastic. The indulgences were brief and immediately discarded; A series of these excessively convenient moments ultimately led to a layered unhappiness. Perhaps, rather than indulging in a series of easy, effortless acts, it’s better to choose a way that requires reflection and effort. Misery passed down from generation to generation continues.
Trash can never be truly zero. However, the current crisis is so urgent that it demands immediate, drastic action, including the complete elimination of single-use plastics. This crisis has manifested visibly in the form of abnormal climate patterns, and ultimately, it disrupts ecosystems and the human nervous system, leading to a state of unawareness. The spectrum of harm stretches across generations, endlessly inherited.
I was terrified of the idea of this crisis infiltrating even the brain. Once accumulated there, plastic disrupts neurotransmitters, and its effects unfold across an individual’s entire lifespan. Depression, decreased sociality, Alzheimer’s, autism, ADHD— all these conditions hover closely together, scattered across humanity. It kills.
It has been two years since I committed to strictly using a tumbler. Through my resolve and actions to refuse plastic, I realized that, unless one lives in complete self-sufficiency, a life completely free of plastic consumption is impossible. I concluded that achieving zero plastic usage requires a complete reform of the entire distribution system, because plastic is so deeply embedded in every aspect of daily life. From what I’ve learned, though not much, I know there are places where it is indeed possible to purchase products that allow for the reuse of containers, and that it is, in fact, possible to live using recyclable containers and packaging. It becomes a question of practice and perseverance to overcome inconvenience and hassle. Perhaps it is ultimately a matter of mental strength.
The process of reflection and reconsideration contributes to establishing a system for recycling, and extensive research is being conducted to shape this into policy. The ultimate goal must be to completely eliminate single-use plastics. Innovations must occur, from food and drink containers to packaging materials. Recycling and reuse are also being researched in the medical field. Harvard. From here, we must move forward with a clear direction for recycling and reuse.
Plastic is entirely harmful. It poses a comprehensive threat to all life on Earth, from being a direct cause of climate change to threatening entire ecosystems. Solution
Easy consumption is a disease.
It is an act of excretion—relieving oneself without thought or reflection. How do those who seek only easy relief live? They are diseased human beings. This is the disaster of unawareness. (불인지, 不認知)